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부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

by 수진잉 2022. 5. 22.
반응형
SMALL

이사를 가게 되면 내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했다는 것을 신고를 해야하는데 그게 바로 '전입 신고'입니다. 전입신고는 주민센터에 가서 하는 방법도 있지만 요즘은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아무때나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TMI지만 부동산 공부를 하면서 청약에 도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마침 살고있는 곳으로 전입 신고를 하였고, 청약은 내 집 마련을 가장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니 청약에 도전하려는 분이 있다면 전입신고를 통해서 꼭 세대주가 되시길 바랍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

 

1. 정부24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정부24 (gov.kr)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2. 통합검색에 '전입신고'를 검색합니다.

3. 검색 결과에 나오는 전입신고의 '신고'를 클릭합니다.

 

4. 개인 정보 수집 및 고유 식별정보 수집 이용 동의에 동의를 합니다.

 

5. 온라인 전입신고 유의사항을 확인합니다. 특히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란을 잘 보셔야 하는데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 본인이 전입 신고를 한 뒤에 전입지의 세대주가 꼭 확인을 해주어야 합니다.

 

 

6. 1단계 신청인 정보를 작성합니다.

 

 

 

7.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합니다.

 

8. 이사 전에 살던 곳 주소를 조회합니다.

9. 이사 가는 사람을 선택합니다. 

10. 이사 온 곳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다가구 주택의 경우 모를 때는 '모름'이라고 체크를 하셔도 무방합니다.

 

SMALL

11. 이사온 사람끼리 세대를 구성하는 것인지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것인지 둘 중에 선택을 합니다. 만약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다가 혼자 독립을 하러 나가는 거라면 '이사온 사람끼리 세대 구성(빈집으로 이사)'을 선택하면 됩니다. 

12. (본인이 세대주가 될 경우에만 해당) 전입 신고를 하는 신청인이 세대주가 될 경우 세대주와의 관계가 본인으로 설정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연락처를 입력합니다.

13. 필요할 경우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초등학교 배정 정보,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등을 전입 신고 시 일괄 신청할 수 있습니다.

14. 전입신고 신청이 되었다는 마지막 창을 확인합니다.

 

위의 내용만 잘 따라하시면 인터넷으로 혼자서도 전입 신고를 마무리 할 수가 있습니다. 전입 신고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정부 24사이트의 'My Gov > 나의 신청 내역'에서 확인할 수가 있고 이사간 곳의 관할 주민센터에 전화로 확인해볼 수가 있습니다.

 

저는 평일 오후에 신청을 했었는데 몇 시간 뒤에 이사간 곳의 관할 주민센터에서 전입 신고가 완료되었다고 안내 문자가 왔습니다. 그리고 하다가 헷갈리는 부분은 정부24의 고객 안내센터에 전화해서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반응형
LIST

댓글